방관

다음 옥편 (한자) 이용방법

!@#@!!!!! 2022. 4. 25. 12:17

옥편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중국의 고야왕이 543년에 편찬한 것을 그 시초로 하여 지금에 까지 발전을 해오면서 만들어져 온 사전입니다. 한자 사전을 바로 옥편이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옥편을 찾기위하여는 별도로 공부를 해야할 정도로 복잡하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 옥편이 인터넷에 올라와 있기 때문에 그러한 불필요한 지식은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음옥편 이용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다음 옥편은 2가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어플로 이용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그중 홈페이지를 통해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다음 한자사전 (Daum 漢韓辭典)

 

dic.daum.net

 

여기로 들어가시면 다음 옥편으로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다음 한자사전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는 같은 의미라고 이야기를 드렸습니다.

옥편의 방법대로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우측 상단에 있는 '요소검색'을 클릭을 합니다. 그러면 

그러면 이러한 방식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서 그냥 어질 인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질인은  사람인 부수입니다. 그래서 변/방에 있는 사람인 부스를 클릭을 하면,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서 우측을 보면 한자를 찾아볼수 있습니다. 어질인은 4획이기 때문에 4획부분에서 쉽게 어질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어질 인을 클릭을 하면 위 처럼 어질인에 대한 다양한 뜻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옥편은 정확하게 옥편의 방식을 따르고 있지는 않습니다. 한자 부수를 입력을 하는것이 아니라 요소를 입력을 하는 더 편리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자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선택을 하다보면 쉽게 원하는 한자를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이상으로 다음 옥편 찾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반응형